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영화 1987 포스터

     

    영화 1987은 987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6월 민주항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이 영화는 2017년 개봉 이후 관객과 비평가들로부터 큰 관심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화 1987은 당시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싸운 시민들의 저항과, 그로 인해 촉발된 정치적인 변화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비롯한 실제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사실적인 역사적 재현과 배우진의 뛰어난 연기로 영화를 보는 관객에게 사회적인 메시지를 준다. 이 글에서는 영화 1987의 정보와 어떤 수상을 하며 어떻게 흥행했는지, 또 시대적인 배경은 어떻게 다루었는지, 마지막으로 영화에 대한 여러 가지 평가를 살펴보았다. 

     

    영화 1987의 정보 및 흥행성과

    영화 1987은 장준환 감독을 맡고 김경찬이 각본을 맡아 제작되었다. 2017년 12월 27일 개봉한 1987은 주연으로는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이희준, 박희순, 김태리 등이 있으며 이 영화의 장르는 드라마와 역사이다. 상영시간은 129분으로 1987년에 발생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그로 인한 시민들의 저항 및 변화를 다루는 영화이다. 이 영화는 당시 민주화를 위한 항쟁에서 각기 다른 계층에 있는 사람들과 모두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저항하게 되는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특히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로 관객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영화 1987은 그 해의 여러 영화 시상식에서 좋은 평을 받으며 많은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황금촬영상, 청룡영화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파리한국영화제, 대종상, 부일영화상, 제천국제음악영화제, 백상예술대상, 우디네 극동영화제, 마리끌레르영화제, 디렉스컷어워즈 등 수많은 상을 수상했다. 그 안에서도 최우수 작품에 대한 상과 최우수 연기, 또 최우수 각본상, 영화 인기상, 관객상과 특별상 까지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특별한 상을 많이 받았다. 이로 인한 영화의 인기를 입증했고 또한 연기, 각본, 감독의 제작능력 등 영화의 여러 요소가 뛰어나다고 인정받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영화 1987은 개봉 후 전국 1,00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는 성공을 거두었는데, 2017년 대한민국에서 개봉한 영화 중 가장 많은 관객 수를 기록한 작품이다. 1,000만 관객 돌파는 대한민국 국내 영화 역사에서 흥행에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또 영화 1987은 국내에서 인기를 크게 끌면서 여러 나라에 수출되었다. 이 영화는 영어 자막 및 다국어 더빙을 제공하며 해외의 시장에서도 주목을 받으며 상영되었다. 특히 1987은 영화의 역사적 배경과 민주화 운동에 대한 메시지 덕분에 일본, 대만, 중국 등 아시아 시장에서 특히 큰 관심을 받았다.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사건

    영화 1987의 가장 중요한 시대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은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일으킨 계기가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다. 1980년대 대한민국은 전두환 군사 정권 아래에서 권위주의적인 정치 체제가 지속되었고 그로 인해서 철저하게 사회적으로 억압받던 시기였다. 특히 학생 운동과 노동 운동을 비롯해서 알게 된 내용처럼 그 당시 사람들은 심히 억눌려 있었고 사회적인 저항감과 반발감이 있었으며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도 크게 제한되었다.
    영화는 정치적 상황을 현실적으로 그려내기 위한 방법으로, 억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불안과 두려움을 감내하며 살아갔는지를 나타냈다. 영화 1987은 박종철 사건을 다루며, 한 사람의 죽음이 어떻게 큰 사회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지 보여준 사례다. 영화 속에서 보이는 경찰의 고문과 국가권력기관의 폭력은 당시 권위주의 정권이 얼마나 철저히 잘못된 방법으로 사회를 통제하고 있었는지를 사람들의 뇌리 속에 강하게 인식시기에 충분했다. 그 장면은 당시 시대의 정치적 억압과 그것이 사람들에게 미친 영향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부분이었다.

    1987년의 6월 민주항쟁은 영화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등장하는데, 박종철의 고문치사 사건은 그 자체로 불행한 사건이었지만 이를 계기로 학생들과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며 군사 정권에 맞서 싸운 것은 그들의 분노와 절박함이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지경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을 잘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 영화는 그 과정에서 각계각층의 인물들이 어떻게 민주화를 위한 투쟁에 참여하게 되었는지를 중심으로 내용을 풀어간다.

    기자인 한병철은 처음에는 권력의 압박을 두려워하면서도 계속해서 진실을 추적하면서 자신의 역할을 점차 깨닫고 용기를 내어 싸우게 된다. 이처럼 각 인물들이 권위주의 정부에 맞서 싸우는 과정을 통해서 민주화 운동이 국민들의 자아각성과 연대의 과정이기도 함을 잘 보여준다. 1987은 사건을 중립적으로 다루기보다 당시 사람들의 열망과 용기를 중점적으로 강조한다.

    결국 영화는 후반이 될 수록 정치적 변화와 그로 인한 희망을 다룬다. 6월 항쟁은 결국 정부의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내며, 한국 정치의 큰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민주화 운동이 개인들의 성장과 각성의 과정임을 알게 해 준다. 영화 안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서로 다른 배경과 모두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지만 결국 같은 목표인 민주화라는 대의명분에 동참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화는 민주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각 개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드러 대는데, 이를 통해 관객들은 1987년의 민주화 운동이 단지 역사의 한 장면에 그치지 않고, 사람들이 함께 힘을 합쳐 변화를 이끌어냈던 역사적 순간임을 함께 느낄 수 있게 된다.

     

     

    영화에 대한 감상평

    영화 1987은 정치적 억압과 시민들의 저항,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맥락을 사실감 있게 재현하며 사회적인 메시지를 전달했다. 영화를 통해 민주화와 인권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지며,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했던 감독의 마음이 어렴풋이 느껴졌다. 처음에는 극적인 갈등구조를 부각해서 관객으로 하여금 너무 감정적으로 울림을 주려는 의도처럼 보이기도 했다. 감동의 극대화를 위해 내용에 대한 사실감이 조금 희생된 느낌이었다. 하지만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사람들의 용기와 사람 사이에 사회적으로 연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인상적이었다. 이 영화는 인물들의 갈등과 통해, 변화하는 스토리를 통해서, 또 사건의 전개 속에 메시지와 교훈을 자연스럽게 녹여냈고 이런 메시지는 오늘날에도 사회적 가치가 충분한 메시지가 된다고 생각한다.

    사실적인 연출에 영화 속 인물들의 이야기에 몰입하며 과거의 역사적 사건도 짚어보고 민주화와 인권의 가치를 다시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영화를 감상한 후 여러 흥행 요소를 분석하게 되면서 왜 이 영화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는지 잘 알게 되었다.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과 그 속에서 사람들의 역할이 어떻게 묘사될까 궁금했는데, 1987은 그 시대의 아픔과 희망을 섬세하게 연출하며 관객들이 몰입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잘 결합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단지 역사로만 치부하지 않고 과거의 이야기를 통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에 있어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는 영화로 깊은 인상을 남겨주었다.

     

     

     

    반응형